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우리나라 금융 문맹률 현황

by 오썅마이웨이 2025. 4. 7.
반응형

사진: Unsplash 의 Keisuke Higashio

금융 문맹률”**은 우리가 돈을 어떻게 벌고, 쓰고, 모으고, 불릴지에 대해 얼마나 이해하고 있는가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예요.
그런데 안타깝게도 우리나라는 금융 문맹률이 꽤 높은 편입니다.
자세히 알려드릴게요.


📉 금융 문맹률이란?

먼저 개념부터 살펴볼게요.
금융 문맹률이란,
*‘기초적인 금융지식(이자, 인플레이션, 리스크 분산 등)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의 비율’*을 뜻해요.
반대로, 기초 금융지식을 잘 이해하고 있는 비율은 **‘금융 이해력’(financial literacy)**이라고 해요.


📊 우리나라의 금융 문맹률은?

  • **OECD 국제 비교 자료(2023 기준)**에 따르면,
    대한민국의 금융 이해력 점수는 100점 만점에 약 62점 수준입니다.
    이는 OECD 평균보다 낮은 편이에요.
  • 특히 20~30대 청년층노년층, 그리고 여성의 금융 이해력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습니다.
  • 2018년 한국은행과 금융감독원이 공동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,
    조사 대상자의 **약 40% 이상이 '금융 문맹 상태'**로 분류되었어요.
    이 말은 곧, 2명 중 1명은 돈과 관련된 기초지식을 잘 모른다는 뜻이에요.

🔍 어떤 점에서 문맹일까?

우리나라에서 사람들이 잘 모르는 대표적인 금융 개념들:

  1. 복리의 개념 – 이자가 이자 위에 붙는 구조 이해 부족
  2. 인플레이션 영향 – 물가 상승이 내 자산에 미치는 영향 이해 부족
  3. 분산 투자 – 전 재산을 하나에 몰아넣는 경우가 많음
  4. 대출 금리 구조 – 고정/변동 금리 차이 이해 못하고 선택
  5. 신용 등급 관리 – 왜 중요한지, 어떻게 관리하는지 모름

🤯 왜 금융 문맹이 문제일까?

  1. 불필요한 빚과 이자에 시달려요.
    • 대출을 비교하지 않고 바로 받거나, 과도한 신용카드 사용
  2. 사기에 쉽게 노출돼요.
    • 고수익 보장, 코인 사기, 다단계 등
  3. 투자 기회를 놓쳐요.
    • ‘무조건 예금’만 고집하거나, ‘몰빵 투자’로 손실
  4. 자녀에게도 금융 교육을 못 해줘요.
    • 돈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 대물림됨

📘 어떻게 금융 문맹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?

  1. 기초부터 배우자
    • 유튜브나 책으로 ‘이자, 복리, 예적금, 주식 기초’부터
    • 추천 도서: 『돈의 심리학』, 『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』
  2. 가계부 쓰기
    • 돈의 흐름을 파악하는 게 시작입니다
  3. 정부의 금융 교육 프로그램 활용
    • 금융감독원, 한국은행, 은행연합회 등에서 무료 강의/자료 제공
  4. 자녀와 함께 돈 공부
    • 어린이/청소년용 금융 도서나 게임 활용

✨ 마무리하며

우리나라 사람들, 열심히는 잘 해요.
근면하고 성실하죠.
하지만 문제는 그 열심히 버는 돈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해서
늘 ‘돈 걱정’ 속에 살아간다는 것.

이제는 ‘돈 공부’가 선택이 아니라 생존입니다.
그리고 그 첫걸음은,
지금처럼 관심 갖는 것에서 시작돼요.

 

 

 

반응형